본문 바로가기
Information

한국 대학 입시 사교육 시장, 고점 도달 징후

by SSSCP 2025. 1. 1.
반응형

한국 대입 사교육 시장, 고점 도달의 징후

최근 사교육 시장에서 상징적인 사건들이 연달아 발생하며, 한국 대입 사교육 시장이 고점을 찍고 하락 국면에 접어들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강남 대치동의 대표적인 학원 '시대인재'의 사업 확장 시도와, 이 학원이 입점한 건물이 여러 차례 유찰된 사실은 이를 뒷받침하는 주요 사례로 분석된다.


시대인재의 로스쿨 입시 시장 진출

2024년 12월, 강남 대치동을 중심으로 대입 수능 사교육을 주도해 온 '시대인재'는 법학적성시험(LEET) 대비를 중심으로 한 로스쿨 입시 시장에 진출했다. 이는 시대인재가 기존 대입 시장에서의 성장을 더 이상 기대하기 어렵다고 판단했음을 보여주는 신호로 해석된다. 학령인구 감소와 대입 경쟁 과열의 구조적 변화로 인해 기존 사교육 시장에서의 성장 한계가 명확해졌기 때문이다.

 

시대인재의 이러한 움직임은 단순한 사업 확장이 아니라, 사교육 시장의 패러다임 변화라는 맥락에서 주목할 필요가 있다. 수능 대비라는 전통적 영역에서 벗어나 전문직 입시 시장으로 확장하려는 시도는 대입 사교육의 포화 상태와 시장 축소의 현실을 반영한다. 이는 한국 사교육 시장이 고점을 지나 새로운 전환기를 맞이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1/0004429061

 

'돈스쿨'된 로스쿨 입시…수능강자 '시대인재'도 뛰어든다

올해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만점자 9명을 배출한 강남의 유명 대학 입시 학원 시대인재가 법학전문대학원(로스쿨) 입시 시장에 뛰어든다. 학령인구 감소로 좁아진 대학 입시판과 달리 취업난과

n.news.naver.com

 


대치동 사교육 중심 건물의 유찰 사태

대입 사교육의 상징적 공간인 강남 대치동에서도 시장 변화의 징후가 뚜렷이 나타나고 있다. 대치동 은마아파트 인근의 '시대인재 스톤관'이 입점한 건물이 2024년 15차례 유찰되며 매각에 실패했다. 이 건물은 월세만 약 34억 원에 달하는 고수익 부동산이지만, 감정가와 매각 조건이 투자자들에게 지나치게 높은 부담으로 작용했다.

해당 건물의 매각 실패는 단순히 부동산 시장 침체만을 의미하지 않는다. 이는 대치동 사교육 시장조차 저출산으로 인한 학령인구 감소와 사교육 비용 증가라는 구조적 문제에서 자유롭지 않다는 점을 보여준다. 기존에 '불황을 비껴간다'고 평가받던 사교육 중심지조차, 시장의 위축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는 현실이 드러난 것이다.

 

https://biz.heraldcorp.com/article/10022695

 

[단독] 월세만 34억 ‘대치 시대인재’ 건물, 900억 깎아도 안 팔려 또 공매행[부동산360]

서울 강남구 대치동 소재 시대인재·강남대성 입점 건물 15차례 유찰 [헤럴드경제=홍승희 기자] 서울 강남구 대치동에 위치한 학원 ‘시대인재’ 입점 건물이 공매 매물로 나온 것으로 확인됐다.

biz.heraldcorp.com

 


저출산과 학령인구 감소의 영향

사교육 시장의 이러한 변화는 저출산으로 인한 학령인구 감소라는 근본적인 인구구조적 요인에서 비롯된다. 학령인구 감소는 사교육 수요 축소로 직결되며, 이는 곧 사교육 업체들의 성장 한계를 의미한다. 과거에는 상위권 학군 중심의 고가 사교육 시장이 꾸준히 성장했지만, 이제는 지역적 한계와 계층적 제한 속에서 그 성장세가 멈춘 상황이다.

특히, 대입 중심의 사교육은 이러한 저출산의 여파를 직접적으로 받고 있다. 이는 강남 대치동과 같은 특정 지역의 고비용 사교육 시장뿐만 아니라, 중소 도시 및 지방의 사교육 시장에서도 유사한 양상으로 나타날 가능성이 크다.


사교육 시장의 고점과 미래

시대인재의 로스쿨 시장 진출과 대치동 학원가 중심 건물의 유찰 사태는 한국 대입 사교육 시장이 이미 고점에 도달했음을 암시한다. 사교육 시장은 단기적으로는 로스쿨이나 전문직 대비 시장 등으로 새로운 수요를 창출하려고 시도할 것이다. 그러나 학령인구 감소와 경제적 부담 증가라는 구조적 문제는 사교육 시장의 전반적인 축소를 피할 수 없게 만들고 있다.

사교육 시장의 재편이 불가피한 상황에서, 대입 사교육은 새로운 방향성을 모색해야 할 시점에 도달했다. 공교육과의 균형을 강화하고, 과도한 비용 부담을 줄이는 대안을 찾는 것이 미래의 사교육 시장이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는 핵심 과제가 될 것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