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

오픈AI, GPT-5와 o3 통합 발표: 무료 사용자도 무제한 채팅 가능

by SSSCP 2025. 2. 13.
반응형

GPT-4.5와 GPT-5 로드맵 공개

오픈AI의 CEO 샘 알트먼이 최근 GPT-4.5와 GPT-5에 대한 로드맵을 공개했다. 이번 발표에서는 GPT-5에 오픈AI의 최신 기술인 'o3'을 통합하고, 무료 사용자도 무제한 채팅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계획이 포함되었다. 이는 기존의 복잡한 모델 선택 과정을 단순화하고, 더 직관적인 AI 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조치로 보인다.

GPT-4.5: 마지막 비추론 모델

알트먼은 내부적으로 '오라이온(Orion)'으로 불리는 GPT-4.5를 마지막 비추론(non-chain-of-thought) 모델로 출시할 것이라고 밝혔다. 현재 AI 모델의 발전 방향은 추론 기능을 강화하는 것이 핵심인데, GPT-4.5 이후 출시되는 모든 모델은 추론 기능을 탑재할 예정이다.

오라이온 모델은 지난해 하반기부터 성능 향상이 두드러지지 않으며, 스케일링 법칙의 한계가 드러났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이에 오픈AI는 오라이온을 GPT-5로 업그레이드하려던 기존 계획을 변경하여, o3와 통합하는 방식으로 차세대 프론티어 모델을 출시하기로 결정했다.

GPT-5: o3 기술 통합 및 무료 무제한 채팅

GPT-5는 o3를 포함한 다양한 기술이 통합된 모델로 출시될 예정이다. 현재 챗GPT에는 여러 개의 모델 옵션이 존재하지만, GPT-5부터는 이러한 번거로운 선택 과정 없이 통합된 AI 시스템이 제공될 전망이다.

특히, GPT-5에서는 무료 사용자도 무제한으로 채팅을 할 수 있도록 변경된다. 기존에는 고급 추론 모델이 출시 초기에는 무료 사용자에게 제공되지 않는 경우가 많았으나, 이번 발표를 통해 GPT-5부터는 모든 사용자에게 개방될 것이라고 밝혔다. 다만, 무료 사용자에게는 ‘표준 인텔리전스 설정(standard intelligence setting)’이 적용되며, 유료 사용자는 더 높은 수준의 AI 성능을 경험할 수 있다.

유료 사용자 혜택 및 딥 리서치 제한

오픈AI는 유료 사용자에 대한 혜택도 강화할 예정이다. 월 200달러를 지불하는 ‘챗GPT 프로’ 사용자는 훨씬 더 높은 수준의 AI 인텔리전스를 활용할 수 있으며, 일반 유료 사용자는 보다 긴 추론 과정과 세밀한 분석 기능을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최근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에이전트 기능인 ‘딥 리서치’의 경우, 초기에는 챗GPT 플러스 사용자는 한 달에 10회, 무료 사용자는 한 달에 2회 사용할 수 있도록 제한된다. 이는 딥 리서치 기능이 높은 컴퓨팅 비용을 요구하기 때문에, 초기에는 사용량을 조절하기 위한 조치로 보인다. 다만, 시간이 지나면서 사용 횟수를 점차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출시 일정 및 전망

샘 알트먼은 이번 발표에서 구체적인 출시 일정은 언급하지 않았지만, GPT-4.5는 이미 개발이 완료된 것으로 보인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오픈AI 내부 직원들에게 “몇 주 안에 출시될 것”이라는 언급이 있었다고 전해졌다. 안전 테스트가 완료되는 대로 출시될 가능성이 크다.

GPT-5의 경우, o3의 외부 테스트 기간 등을 감안하면 최소 1~2개월이 소요될 것으로 전망된다. 오픈AI 최고 제품책임자 케빈 와일은 최근 인터뷰에서 “o3의 출시 목표는 2~3월”이라고 밝힌 바 있어, GPT-5는 그 이후에 출시될 가능성이 높다.

오픈AI의 전략 변화

이번 발표는 최근 등장한 경쟁 AI 모델, 특히 딥시크(DeepSeek)의 등장에 대한 대응으로 해석될 수 있다. 오픈AI는 단순한 추론 기능을 넘어, 멀티모달 기능, 고급 검색, 에이전트 기능을 통합한 새로운 AI 경험을 제공하려는 전략을 강화하고 있다.

특히, 알트먼이 이번 발표에서 처음으로 '오라이온'과 GPT-5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을 공개한 점도 주목할 만하다. 기존에는 GPT-4.5가 차세대 모델로 출시될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오픈AI는 결국 o3와 GPT-5를 통합하는 방향으로 노선을 변경했다. 이는 AI 모델의 성능 향상이 기존 예측보다 더딘 상황에서, 보다 혁신적인 기술 통합을 통해 경쟁력을 유지하려는 의도로 보인다.

 

이번 발표를 통해 오픈AI는 AI 모델을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사용자 경험을 개선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음을 시사했다. GPT-5가 출시되면, AI 기술의 새로운 표준을 제시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