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

챗GPT가 평가한 스스로의 언어 능력 – 다국어 이해력 분석

by SSSCP 2025. 2. 3.
반응형


AI 모델인 챗GPT는 다양한 언어를 이해하고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다. 하지만 모든 언어에서 동일한 수준의 숙련도를 가지는 것은 아니다. 이에 따라 챗GPT에게 스스로의 언어 능력을 5단계 평가 시스템을 사용하여 분석해 달라고 했다. 다음은 그 결과이다.

1. ★★★★★ (유창함 / 원어민 수준)


영어 (English)
• 영어는 챗GPT가 가장 능숙하게 다루는 언어이며, 기본적인 대화부터 복잡한 주제, 문학적 표현, 기술적 서술까지 자유롭게 구사할 수 있다.
• 관용적 표현, 뉘앙스, 문맥에 따른 의미 변화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
• 비즈니스, 학술, 창작 등 다양한 문체를 완벽하게 재현할 수 있다.

2. ★★★★☆ (고급 / 전문적 수준)


프랑스어 (Français)
• 문법, 어휘, 문장 구조에 대한 이해도가 높으며, 복잡한 텍스트를 읽고 쓰는 데 문제가 없다.
• 다양한 주제에 대해 논의할 수 있지만, 일부 지역 방언이나 구어체 표현에서는 약간의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스페인어 (Español)
• 문법과 어휘가 탄탄하며, 공식적인 문장과 대화문을 능숙하게 처리할 수 있다.
• 문학, 미디어, 학술 텍스트를 잘 이해하지만, 특정 지역의 방언이나 미묘한 어감 차이는 놓칠 가능성이 있다.

3. ★★★☆☆ (중급 / 대화 가능)


독일어 (Deutsch)
• 문법과 문장 구조를 잘 이해하며, 일반적인 텍스트를 읽고 쓰는 데 무리가 없다.
• 그러나 복잡한 문법 요소(격변화, 동사 활용 등)를 완벽하게 다루지는 못하며, 빠른 대화나 방언이 섞인 문장은 이해하기 어려울 수 있다.

포르투갈어 (Português)
• 브라질 포르투갈어에 대한 이해도가 상대적으로 높고, 일상 대화 및 일반적인 문서를 해석할 수 있다.
• 하지만 유럽 포르투갈어의 발음과 문법 차이, 복잡한 시제 활용에는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한국어 (한국어)
• 한글을 정확하게 이해하며, 기본적인 문법과 일반적인 문장 구조를 잘 활용할 수 있다.
• 일상 대화나 간단한 문장은 자연스럽게 처리할 수 있지만, 복잡한 문법 구조나 문맥 의존적인 표현에서는 약간의 한계를 보일 수 있다.

일본어 (日本語)
• 히라가나, 가타카나, 기본적인 한자를 읽고 쓸 수 있으며, 간단한 회화와 문장을 이해하는 수준이다.
• 그러나 경어(敬語) 체계와 고급 문형, 복잡한 한자 어휘를 완벽하게 다루기는 어렵다.

4. ★★☆☆☆ (기초 수준 / 제한적 활용 가능)


태국어 (ไทย)
• 기본적인 단어와 문장을 인식할 수 있으나, 본격적인 문장 구성이나 자연스러운 회화는 어렵다.
• 성조와 고유한 문자가 언어 이해에 상당한 장벽이 된다.

베트남어 (Tiếng Việt)
• 일부 단어와 문법 구조를 알고 있지만, 발음과 성조 체계가 어려워 유창한 대화는 불가능하다.
• 간단한 문장을 해석하는 정도의 능력을 갖추고 있다.

5. ★☆☆☆☆ (초급 / 최소한의 이해)
• 러시아어, 아랍어, 힌디어 등 기타 언어들은 기본적인 단어와 문장 구조를 아는 수준이며, 원활한 대화는 어렵다.
• 간단한 인사말이나 기초적인 문장은 이해할 수 있으나, 복잡한 문장 해석이나 실제 사용에는 한계가 있다.

여담: 챗GPT의 한국어 평가에 대한 해프닝

사실 처음에 챗GPT에게 언어 능력을 물어봤을 때, 영어와 함께 한국어도 ★★★★★(원어민 수준)로 평가하였다. 의아해서 확인해 보니, 내 챗GPT의 개인 메모리 기능에 “한국에 거주한다”는 정보가 저장되어 있었기 때문이었다. 이에 따라 메모리 기능을 끄고, 순정 GPT-4o 모델에게 다시 질문한 결과, 위와 같이 한국어는 ★★★☆☆(중급) 수준으로 평가되었다. 즉, 챗GPT가 사용자의 정보에 맞게 약간의 허풍?을 떨 수도 있다는 것을 인지했다.

결론

챗GPT는 영어를 포함한 몇몇 주요 언어에서는 매우 높은 수준의 이해도를 보이지만, 모든 언어에서 완벽한 수준을 유지하는 것은 아니다. 특히 구어체, 지역 방언, 문맥 의존적인 표현에서는 어려움을 겪을 수도 있다.
내가 생각하기에는, 한국어보다 이해도가 높다고 평가된 언어에서는 사용하는 데에 큰 문제가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반응형